1대간9정맥

[스크랩] 白頭大幹 [백두대간]

매주목요일 7시출발(산행신청 010-3728-4818) 2012. 1. 10. 09:41

백두대간 개요

 

백두대간이 우리에게 갑자기 인기를 끌게된 것은 우리가 그동안 학교에서 배워 왔던 일제시대 때 광물수탈을 위해 1900년과 1902년에 실시된 지질조사자료를 가지고 고토 분지로(小藤文次郞,1856-1935)라는 일본지질학자가 15개의 산맥으로 조각 낸 산맥체계와는 전혀 다른 우리고유의 인문지리이기 때문이다.


잊고 있었던 백두대간이 다시 우리 눈앞에 펼쳐진 것은 1980년 겨울 지도연구가 이우형씨가 인사동의 고서점에서 조선조 영조때의 실학자 여암 신경준(1712-1781)이 쓴 산경표(山經表,1769년/영조45년 발행)라는 책을 발견한 순간 부터이다.
산경표는 신경준이 정의한 우리 산의 족보로 백두대간과 백두대간에 속한 산들의 위치에 대한 기록이다. 그 개념은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강은 산을 뚫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개념으로 보면 국내 어떤 산에서든 백두산까지 물줄기에 의해 끊이지 않고 모두 능선으로 연결되어 물을 건너지 않고 백두산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중 가장 큰 산줄기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뻗어나간 백두대간이다.
이 백두대간에서 다시 뻗어나간 산줄기를 정맥(正脈)과 정간(正幹)이라고 하며 정맥에서 다시 뻗어나간 산줄기를 지맥(支脈)이라고 한다.

더 쉽게 설명하면 대간과 정간은 한반도의 물줄기를 동서로 흐르게 하는 분수령이며 정맥은 그 강을 울타리처럼 둘러 싼 산줄기다.
이런 개념으로 보면 한반도의 산줄기는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되어있다. 이렇게 백두대간을 포함한 15개의 산줄기 이름 중 산이름에서 따온 것은 백두대간과 장백정간이며 나머지 13개의 정맥은 10개의 강이름에서 따왔다.

백두대간은 지도상 거리로 1천625킬로미터(1천572킬로미터라는 설도 있음)이며 이중 남한에서 종주 가능한 지리산 천왕봉(1,915.4m)에서 진부령까지의 지도상 거리는 690킬로미터가 된다. 북한쪽 총길이(삼재령에서 백두산 장군봉까지)는 약910킬로미터라고 한다.
천왕봉과 진부령간의 실제거리는 대락 1천500킬로 미터쯤 된다고 한다. 높이는 100미터에서 2천750미터까지 다양하지만 함경남도 흥남과 위도가 비슷한 북위40도 부근에 위치한 마유령 북쪽부터는 전부 1천미터 이상이다.

백두대간 종주가 일반인들의 관심을 끈 것은 지난 1988년부터 시작되었다.
한국대학산악연맹에서 발행하는 연감 엑셀시오에 백두대간 특집이 실리면서 각 대학산악부가 백두대간 종주에 뛰어들었다.
이어서 일반산악단체들이 뒤따라 백두대간 종주대열에 끼어 들었고, 우리 산하를 좋아하는 이들 모두에게 백두대간이 알려지게 되었다. 백두대간을 하루 15Km씩 걷는다해도 40여 일이 넘게 걸린다. 겨울에는 70여일 이상이 소요된다. 구간을 나누어 주말에만 종주해도 40회 이상산행을 해야하기 때문에 짧게는 1년 길게는 2년이 소요된다.

지난 94년 4월5일부터 5월21일까지 장금씨가, 이어 7월 17일부터 9월 25일까지 길춘일씨는 지원없이 단독으로 종주를 완료한 것을 시작으로 많은 사람들이 단독종주에 나섰다.(93년 수원 그린피아산악회의 권동현씨가 무지원 단독산행을 했으며 동시에 그린피아 산악회는 생식으로만 종주했다는 기록도 있다) 아들과 아버지가 형제끼리 혹은 최연소자(당시13세)와 최고령자(당시75세)가 종주하기도 했다.

우리 민족 고유의 심신수련법인 국선도회원 5명은 지난 98년 8월15일부터 10월18일까지 65일동안 현미, 생콩,솔잎,칡,마 등 12가지를 가루로 만든 것을 생식하며 종주한 이색적인 기록도 세웠다. 이러한 우리의 보물 백두대간도 현재 개발이라는 미명과 입산자들에게는 속수무책이다. 동.식물의 보고인 백두대간의 생태계가 포장도로와 과도한 입산자들 때문에 심하게 훼손되고 있기 때문이다.

포장도로뿐만 아니라 골프장과 스키장 또는 기타 다른 개발용도로 인해 많은 부분이 훼손되고 있으며 이에 못지 않게 이미 많은 이들이 주말마다 구간 종주를 해 지도 없이도 종주가 가능할 정도로 길이 훤하게 난 것이 현실이다. 98년 녹색연합 백두대간 탐사팀이 답사한 결과 90년 백두대간에 23개에 불과하던 포장도로가 98년 3월현재 47개가 늘어난 72개(비포장,임업도로 포함)의 도로가 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렇게 개설된 도로가 종주의 중요한 구간의 교차점(출발과 종착) 즉 중간보급지원 장소 등으로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훼손때문에 환경부는 2천년부터 남한측 백두대간 전 구간에 산림훼손방지용 생태축(生態軸)을 지정하여 지자체나 민간업체가 새로운 시설이나 도로를 건설 할 수 없게 했다
.


 

백두 대간 종주 지도(지리산-향로봉 구간)

지리산1구간

지리산2구간

봉화산 구간

백운산 구간

덕유산 구간

삼도봉 구간

황악산 구간

국수봉 구간

봉황산 구간

속리산 구간

대야산 구간

조령산 구간

대미산 구간

소백산 구간
도솔봉구간

선달산 구간

태백산 구간

함백산 구간

덕항산 구간

두타산 구간

석병산 구간

대관령 구간

오대산 구간

조침령 구간

설악산 구간

진부령 구간

구 분

탐 방 코 스

도상
거리

실제
거리

합 계

672㎞

1,240㎞

지리산권

소 계

77.1

142.2

지리산(천황봉)→장터목산장→촛대봉→세석산장

4.4

8.1

세석산장→선비샘→벽소령→연하천산장→총각샘→토끼봉

11.5

21.2

토기봉→뱀사골산장→임걸령→노고단→고리봉 →헬기장

12.8

23.6

헬기장→만복대→정령치→수정봉→입망치

13.5

24.9

입망치→여원재→고남산→상사바위→매요마을

11.5

21.2

매요마을→이실재→새맥이재→시리봉→복성이뒤재→꼬부랑재

11.6

21.4

꼬부랑재→봉화산→광대치→월경산→중고개재

11.8

21.8

덕유산권

소 계

119.1

219.4

중고개재→백운산→깃대봉→육십령

15.4

28.4

육십령→바위지대→서봉→남덕유산→삿갓봉→삿갓골재

11.1

20.5

삿갓골재→두룡산→동엽령→중봉→헬기장→빼재

19.5

35.5

빼재→삼봉산→지경내→초점산→대덕산→덕산재→쑥병이

16.6

30.6

쑥병이→삼도봉

8.1

13.7

삼도봉→질매재→바람재

15.8

29.2

바람재→황학산(비로봉)→여시골산→궤방령→모리골→
가성산→눌의산→당마루

15.8

29.2

당마루→사기점→갈현고개→국수봉→큰재

17.5

32.3

속리산권

소 계

100.9

185.6

큰재→백학산→선유골→지기재

17.9

33.3

지기재→신의터고개→화령산→봉항산

17.9

33.3

봉화산→비재→828고지

7.1

13.1

828고지→형제봉→속리산(천황봉)→문장대→눌재

14.8

27.3

눌재→청화산→갓바위재→조항산→고모치

7.5

13.8

고모치→대야산→분란치재→장성봉→헬기장

13.5

24.9

헬기장→은치재→구왕봉→희양산→시루봉→이만봉→981고지

11.8

21.8

981고지→백화산→황학산→조봉→이화령

9.8

18.1

소백산권

소 계

106.6

196.7

이화령→조령산→마패봉→조령3관문→부봉 →하늘재

16.3

30.1

하늘재→포함산→대미산

13.5

24.9

대미산→황장봉산→벌재→저수재

15.6

28.8

저수재→배재→싸리재→뱀재→묘적령→도솔봉→죽령

20.1

37.1

죽령→연화봉→소백산(비로봉)→국망봉→상월산→1272고지

15.0

27.7

1272고지→마당치→고치령→미내리→마구령

14.7

27.1

마구령→늦은목이→석달산→박달령

11.4

21.0

태백산권

소 계

97.8

181.6

박달령→옥돌봉→도래기재

6.1

11.3

도래기재→구룡산→고부령→장바위

14.4

26.5

장바위→태백산→화방재

10.1

18.6

화방재→함백산→싸리재→1233.1고지

14.5

26.8

1233.1고지→매봉산→피재→한의령→새맥이

17.1

32.7

새맥이→덕항산→큰재→댓재

11.1

20.5

댓재→두타산→청옥산→고적대

13.0

24.0

고적대→이기령→상월산→987.2고지

11.5

21.2

오대산권

소 계

72.1

133.0

987.2고지→백봉령→지병산→생계령

12.1

22.3

생계령→석병산→두리봉→삽당령

12.2

22.5

삽당령→석두봉→화란봉→닭목재

12.9

23.8

닭목재→고루포기산→능경목→대관령

12.1

22.3

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

11.3

20.9

매봉→소황벽산→노인봉→진고개

11.5

21.2

설악산권

소 계

98.4

181.5

진고개→동대산→두로봉

8.1

14.9

두로봉→신배령→만월봉→응복산→약수산 →구룡령

14.0

25.8

구룡령→갈전곡봉→쇠나드리

17.5

32.3

쇠나드리→조침령→북암령→단목령→4거리

13.1

24.2

4거리→점봉산→망대암산→한계령→샘터

13.5

24.9

샘터→끝청→대청봉→희운각→산장→마등령

11.7

21.6

마등령→저항력→미시령

7.8

14.4

미시령→삼봉→신선봉→마산→진부령

12.7

23.4

 

백두대간 제 1구간 1 회 지리산 1구간 천왕봉(1,915m)

백두대간 제 1구간 2 회 지리산 2구간 칠선봉

백두대간 제 1구간 3 회 지리산 3구간 만복대(1,433.4m)

백두대간 제 1구간 4 회 수정봉(804.7m), 고남산(846.4m) 

백두대간 제 1구간 5 회 봉화산 (919.8m)

백두대간 제 1구간 6 회 백운산 (1,278.6m)

백두대간 제 1구간 7 회 영취산 (1,075.6m)

백두대간  제 1구간   8 회 남덕유산 (1,507.4m)

백두대간  제 1구간   9 회 백암봉 (1,490m) 

백두대간 제 1구간 10 회 대덕산 (1,290m)

백두대간 제 1구간 11 회 삼도봉 (1,176M)

백두대간 제 1구간 12 회 황악산 (1,111.4m)

백두대간 제 1구간 13 회 국수봉 (683.5M)

백두대간 제 1구간 14 회 백학산(695m)

백두대간 제 1구간 15 회 장자봉(380m)

백두대간 제 1구간 16 회 봉황산(740.8m)

백두대간 제 2구간 17 회 속리산 (1058m)

백두대간 제 2구간 18 회 조항산(951.2m), 대야산(930.7m)

백두대간 제 2구간 19 회 장성봉(915.3m)

백두대간 제 2구간 20 회 백화산(1063m)

백두대간 제 2구간 21 회 시양산

백두대간 제 3구간 22 회 포암산(961.7m)

백두대간 제 3구간 23 회 황장산(1.077m)

백두대간 제 3구간 24 회 묘적봉(1,13.m), 도솔봉(1,314.2m)

백두대간 제 3구간 25 회 소백산(1,439.5m)

백두대간 제 3구간 26 회 선달산(1,236m)

백두대간 제 3구간 27 회 구룡산(1,345m)

백두대간 제 3구간 28 회 태백산(1,566m)

백두대간 제 3구간 29 회 함백산(1,572.9m)

백두대간 제 3구간 30 회 덕항산(1,070.7m)

백두대간 제 3구간 31 회 청옥산(1,403.7m)

백두대간 제 3구간 32 회 상월산(970.3m)

백두대간 제 3구간 33 회 석병산(1,055.3m)

백두대간 제 3구간 34 회 고루포기산(1,238.3m)

백두대간 제 3구간 35 회 노인봉(1,338.1m)

백두대간 제 3구간 36 회 동대산(1,433.5m)

백두대간 제 3구간 37 회 갈전곡봉(1,204m)

백두대간 제 3구간 38 회 점봉산(1,424.2m)

백두대간 제 3구간 39 회 설악산(1,708m)

백두대간 제 3구간 40 회 설악 공룡능선(1,708m)

백두대간 제 3구간 41 회 설악산(1,708m) 황철봉

 

 

 

백두대간 구간별 코스
제1구간 : 천왕봉~세석~벽소령~삼도봉~화개재~노고단~성삼재
제2구간 : 성삼재~만복대~정령치~고기리~수정봉~고남산~사치재
제3구간 : 사치재~복성이재~치재~봉화산~광대치~월경산~중재
제4구간 : 중재~중고개재~백운산~영취산~민령~깃대봉~육십령
제5구간 : 육십령~할미봉~남덕유산~삿갓봉~동엽령~못봉~신풍령
제6구간 : 신풍령~삼봉산~소사재~삼도봉~대덕산~덕산재
제7구간 : 덕산재~부항령~삼도봉~밀목재~화주봉~우두령
제8구간 : 우두령~바람재~황악산~궤방령~가성산~눌의산~추평령
제9구간 : 추풍령~용문산~큰재~윗왕실임도~백학산~지기재
제10구간 : 지기재~신의터재~화령재~봉황산~갈령삼거리
제11구간 : 갈령삼거리~피앗재~속리산~문장대~밤티재~늘재
제12구간 : 늘재~청화산~밀재~대야산~불란치재~ 버리미기재
제13구간 : 버리미기재~악휘봉~은치재~희양산~백화산~이화령
제14구간 : 이화령~조령산~조령~마폐봉~부봉~탄항산~하늘재
제15구간 : 하늘재~포함산~대미산~새목재~차갓재~황장산~벌재
제16구간 : 벌재~문봉재~저수재~시루봉~묘적봉~도솔봉~죽령
제17구간 : 죽령~소백산~국망봉~늦은맥이고개~마당치~고치령
제18구간 : 고치령~마구령~갈곶산~늦은목이~선달산~도래기재
제19구간 : 도래기재~구룡산~곰넘이재~태백산~화방재
제20구간 : 화방재~함백산~두문동재~금대봉~매봉산~피재
제21구간 : 피재~건의령~푯대봉~덕항산~큰재~황장산~댓재
제22구간 : 댓재~두타산~청옥산~연칠성령~고적대~이기령~백복령
제23구간 : 백복령~석병산~닭목재~고루포기산~능경봉~대관령
제24구간 : 대관령~소황병산~노인봉~진고개~동대산~응복산~구룡령
제25구간 : 구룡령~갈전곡봉~조침령~단목령~점봉산~한계령
제26구간 : 한계령~대청봉~공룡릉~마등령~황철봉~미시령
제27구간 : 미시령~상봉~신선봉~대간령~마산~진부령

출처 : 마포산악회
글쓴이 : 선바우 원글보기
메모 :

'1대간9정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두대간 종주지도  (0) 2014.02.18